-
경기도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 서울/경기도카테고리 없음 2022. 6. 12. 01:45
서울/경기도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
분양가상한제(naver.com) 집값 안정화의 일환으로 주택을 분양할 때 택지비와 건축비에 건설사의 적정이윤을 더한 분양가를 산정해 그 가격 이하로 분양하도록 한 제도. 한국에는 1977년 분양 상한가 제도가 도입되면서 분양가 규제가 시작됐다. 1989년 주택법 개정에 따라 공공택지를 공급받아 건설하여 공급하는 공동주택에 한해 분양원가 연동제가 실시되었으며,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로 주택시장 경기가 침체되자 1999년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는 공동주택 외에는 분양가의 전면 자율화가 실시되었다. 2000년대 이후 부동산 경기가 과열되면 집값 안정 terms.naver.com
분양가상한제의 의미는 위와 같습니다! 즉 분양가를 낮춰 실소유자의 부담을 줄이고 주택시장의 안정을 만들어가려는 제도입니다.조합 입장에서는 분양가가 높아져야 조합원에게 오는 이익도 커집니다. 그런데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분양가 심사를 강화하면서 조합원 이익이 적어집니다. 그런 이익이 적어지면 재개발, 재건축 사업은 수포로 돌아가게 되고 그럴수록 주택 공급 부족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HUG주택도시보증공사(khug.or.kr)의 집에 대한 꿈을 지키는 최고의 금융 파트너 주택도시보증공사입니다. 대한민국 유일의 주택보증 전문기관으로 국민 모두가 믿고 거래하는 주택금융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www.khug.or.kr
그렇게 고분양가 심사 기준이 강화되면서 강남 재건축과 강북 재개발 단지가 후분양을 한다는 겁니다. 후분양을 하게 되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분양가 통제 없이 분양가를 책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분양가상한제 적용지역
1. 서울특별시 - 서울시 13구 272동 전체 : 강남구, 서초구, 강동구, 송파구, 광진구, 성동구, 중구, 서대문구, 마포구, 양천구, 영등포구, 동작구, 관악구 - 강서구 5동 : 방화, 공항, 마곡, 등촌, 화곡 - 은평구 7동 : 갈현, 불광, 대조, 역촌, 신사, 증산, 수색 - 성북구 13동 : 성북, 동소문 2/3가, 삼선 1/2/3가, 보문1가, 안암3가, 상암3가, 상암3가,
2. 경기도 - 광명시 4동 : 광명, 철산, 하안, 소하 - 과천시 5동 : 주암, 중앙, 부림, 별양, 원문 - 하남시 4동 : 풍산, 덕풍, 신장, 창우